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승부주] 플렉스컴, 삼성 갤럭시 시리즈 FPCB 납품사

편집자주 '오늘의 승부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 우량주 중에서 외국인 등 '큰손' 투자자들이 지분을 확대하는 주식을 골라 아이투자에서 매일 공개합니다. 오늘 하루에 승부를 보는 종목이 아닌, 오늘부터 관심권에 두는 종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플렉스컴의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플렉스컴은 작년 10월 유럽발 금융위기로 3480원까지 주가가 하락했으나 그 후 세 배 이상 상승해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현재 플렉스컴은 52주 최저가 대비 285% 높은 1만34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플렉스컴의 최근 6개월 수익률은 시장을 상회했다. 플렉스컴의 주가 상승은 계속될 수 있을까.



▷ 국내 2위 FPCB 전문 제조회사

플렉스컴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회사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구리 배선이 인쇄된 판이다. 전자기기에서 반도체, 콘덴서 등 각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핵심부품이다. 전기배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런 PCB를 기존 기판형태에서 필름형태로 바꿔 만든게 FPCB다. FPCB는 휘어지고 가벼워 소형 전자제품에 필수적이다.



FPCB는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수요자에 주문에 따라 생산한다. 세부공정별로 수작업이 필요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이기도 하다. 다만 업체간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 시장진입이 쉬워 원가 절감과 고정거래처 확보가 경쟁력이 된다. 플렉스컴은 FPCB 분야에서  인터플렉스10,340원, ▼-260원, -2.45%에 이어 국내 2위를 달리고 있다.

플렉스컴은 삼성전자101,900원, ▲2,600원, 2.62%, LG전자85,900원, ▲700원, 0.82%, 팬택 등 국내 휴대전화 제조업체에 납품한다. 특히 삼성계열사 의존도가 85%로 높다. 플렉스컴은 2008년 삼성전자의 핸드폰 생산기지인 베트남에 국내 최초로 진출했다. 플렉스컴의 베트남 법인은 삼성전자 베트남 생산물량을 과점해 빠르게 성장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S3, 갤럭시 노트 등 스마트 기기 판매 호조로 플렉스컴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3% 성장했다. 매출호조로 2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21억원 대비 119% 상승한 46억원을 기록했다. 플렉스컴은 수요 증가에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해외법인 증설에 힘쓰고 있다.

▷ 최근 외국인 매수 시작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 2월부터 플렉스컴의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했다. 외국인 매도로 지난 2월 1.2%던 외국인 지분율은 6개월 후인 지난 8월에 0.1%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최근 외국인의 매매동향이 달라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9월 26일부터 거래일 기준으로 나흘 연속 플렉스컴을 순매수했다. 플렉스컴의 외국인 지분율은 1.0%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

주식MRI 분석 결과 : 상위 13%...현금 창출력은 낮은 평가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플렉스컴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27위(상위 13%)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현금 창출력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최근 4분기 동안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를 기록한 분기가 있었고 매출액 대비 영업현금흐름이 -0.2%에 그친 점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연성회로기판(FPCB) 밸류체인]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연성회로기판은 휘어지는(Flexible) 인쇄회로기판(PCB)를 말한다. 동박에 폴리이미드(PI) 필름을 고온으로 접착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FPCB는 경량화, 소량화, 입체화라는 모바일 기기가 요하는 3박자를 갖추고 있어 스마트 기기 판매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연성회로기판 밸류체인
ㅇ폴리이미드 필름(PI) : SKC코오롱PI
ㅇ동박(Cooper Foil) : 일진머티리얼즈
ㅇFPCB 소재 : 이녹스, 한화L&C, 도레이새한
ㅇFPCB 제품 : 대덕GDS, 영풍, 인터플렉스, 플렉스컴, 액트
ㅇ완제품(SET) : 삼성전자, LG전자

[연성회로기판(FPCB) 밸류체인]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일진머티리얼즈 11,250 ▼150 (-1.3%) 1,868 12 3 130.5 1.37 1.1%
이녹스 20,600 ▼400 (-1.9%) 628 90 59 17.6 2.77 15.7%
대덕GDS 14,050 ▼150 (-1.1%) 2,253 227 209 11.6 0.82 7%
영풍 1,103,000 ▲2,000 (0.2%) 5,668 582 731 8.2 0.98 11.9%
인터플렉스 64,700 ▼900 (-1.4%) 2,661 251 247 18 3.34 18.5%
플렉스컴 13,450 ▲200 (1.5%) 1,441 103 102 9.5 2.02 21.3%
액트 3,645 ▲10 (0.3%) 296 10 13 9.7 1.58 16.3%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플렉스컴]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휴대폰용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
사업환경 ㅇ스마트폰 보급 확산으로 휴대폰용 인쇄회로기판(PCB)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PCB는 첨단기술 분야인 군수, 자동차, 산업용 로봇, 첨단 의료기기 산업에도 확대 적용될 전망
경기변동 ㅇ휴대폰 경기동향에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양면FPCB: (매출 비중 56%)
ㅇ단면FPCB: (매출 비중 2%)
ㅇ멀티FPCB: (매출 비중 4%)
ㅇRF: (매출 비중 14%)
ㅇ기타: (매출 비중 23%)
원재료 ㅇ동박: (매입 비중 24%)
ㅇ커버레이: (매입 비중 15%)
ㅇ본딩시트: (매입 비중 1%)
ㅇ기타: (매입 비중 60%)
실적변수 ㅇ삼성전자, LG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시 수혜
리스크 ㅇ부채비율이 123%로 높음
ㅇ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잉여현금흐름이 (-)를 기록하는 등 현금 창출력이 낮음
신규사업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플렉스컴]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6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441 1,759 1,544 1,345
영업이익(보고서) 103 101 132 122
영업이익률(%) 7.1% 5.7% 8.5% 9.1%
영업이익(K-GAAP) 103 101 132 122
영업이익률(%) 7.1% 5.7% 8.5% 9.1%
순이익(지배) 102 69 116 61
순이익률(%) 7.1% 3.9% 7.5% 4.5%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9.49
이시각 PBR 2.02
이시각 ROE 21.31%
5년평균 PER 9.86
5년평균 PBR 1.27
5년평균 ROE -0.74%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플렉스컴]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하경태최대주주보통주1,549,38213.851,549,38213.85-
오정선특수관계인보통주1,150,70110.281,150,70110.28-
보통주2,700,08324.132,700,08324.13-
기타-----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