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성광벤드, 외국인 지분 3.6% 취득...왜?
6일 증시 개장을 앞둔 가운데 최근 한 달간 외국인이 적극 순매수한 성광벤드26,600원, ▲400원, 1.53%가 반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일 주가는 4.7% 하락한 2만31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8일부터 전일까지 이 회사 주식 103만3805주를 사들여 지분율을 종전 15%에서 현재 18.6%로 3.6%포인트(P) 높였다. 같은 기간 주가 상승률은 7%로 코스피 지수가 1% 하락한 것과 비교해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이는 2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한 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외국인들의 순매수세는 지난달 14일 성광벤드가 반기보고서를 발표한 후 가파른 증가세를 탔다.
성광벤드의 2분기 매출액은 79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6%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지분법 적용)은 193억원과 148억원으로 각각 218%와 208%가 늘었다. 매출액은 실적 발표전 3개월간의 증권가 평균인 802억원보다 소폭 적었지만, 영업이익은 예상치 131억원보다 47% 많았다.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 달성은 환율 상승과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 효과로 분석된다. 성광벤드는 수출 비중이 60%를 넘기 때문에 환율 상승시 수혜를 보는 데, 2분기 원/달러 환율이 1130~1180원대를 유지해 1100원대 아래 머물렀던 지난해 동기보다 수익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담수화 플랜트, LNG 플랜트, 해양플랜트용 관이음쇠 매출 비중 증가도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탠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플랜트용 관이음쇠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강을 소재로 만들어 마진이 높다. 실제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률은 24%로 지난해 동기보다 약 13%포인트(P)가 상승했다.
성광벤드는 산업용 관이음쇠 제조업체다. 태광22,650원, ▲450원, 2.03%과 함께 글로벌 산업용 관이음쇠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성광벤드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약 12%다.
관이음쇠(피팅: Fitting)는 말 그대로 관을 이어주는 제품이다. 배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배관의 직경(원의 지름)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주로 원자력 발전소, 수력발전소, 조선소, 석유화학 플랜트, 해양플랜트에 쓰이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건설·조선사다. 성광벤드는 조선 빅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와 GS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등 국내 최고업체들과 거래하고 있다.
한편, 2분기 말 자본총계 기준 현재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1배로 5년 평균인 2.9배보다 낮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3%로 5년 평균 20.7%보다 낮다.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7.8배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8일부터 전일까지 이 회사 주식 103만3805주를 사들여 지분율을 종전 15%에서 현재 18.6%로 3.6%포인트(P) 높였다. 같은 기간 주가 상승률은 7%로 코스피 지수가 1% 하락한 것과 비교해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이는 2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한 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외국인들의 순매수세는 지난달 14일 성광벤드가 반기보고서를 발표한 후 가파른 증가세를 탔다.
성광벤드의 2분기 매출액은 79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6%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지분법 적용)은 193억원과 148억원으로 각각 218%와 208%가 늘었다. 매출액은 실적 발표전 3개월간의 증권가 평균인 802억원보다 소폭 적었지만, 영업이익은 예상치 131억원보다 47% 많았다.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 달성은 환율 상승과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 효과로 분석된다. 성광벤드는 수출 비중이 60%를 넘기 때문에 환율 상승시 수혜를 보는 데, 2분기 원/달러 환율이 1130~1180원대를 유지해 1100원대 아래 머물렀던 지난해 동기보다 수익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담수화 플랜트, LNG 플랜트, 해양플랜트용 관이음쇠 매출 비중 증가도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탠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플랜트용 관이음쇠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강을 소재로 만들어 마진이 높다. 실제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률은 24%로 지난해 동기보다 약 13%포인트(P)가 상승했다.
성광벤드는 산업용 관이음쇠 제조업체다. 태광22,650원, ▲450원, 2.03%과 함께 글로벌 산업용 관이음쇠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성광벤드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약 12%다.
관이음쇠(피팅: Fitting)는 말 그대로 관을 이어주는 제품이다. 배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배관의 직경(원의 지름)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주로 원자력 발전소, 수력발전소, 조선소, 석유화학 플랜트, 해양플랜트에 쓰이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건설·조선사다. 성광벤드는 조선 빅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와 GS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등 국내 최고업체들과 거래하고 있다.
한편, 2분기 말 자본총계 기준 현재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1배로 5년 평균인 2.9배보다 낮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3%로 5년 평균 20.7%보다 낮다.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7.8배다.
[피팅·밸브업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피팅(관이음쇠)은 배관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다. 밸브는 배관을 열고 닫는 장치를 의미한다. 피팅과 밸브는 배관이 필요한 석유화학, 발전, 담수, 조선, 해양구조물 각종 플랜트(공장)의 필수 자재다.
조선업의 수주 증가와 국내 EPC(설계, 자금조달, 시공까지 하는 프로젝트)종합업체의 중동 플랜트 수주물량 증가로 피팅업체의 수주량도 늘고 있다.
[관련 기업]
피팅업체: 태광(51%, 2010년 국내시장 점유율), 성광벤드(38%), AJS(10%).
계장용 피팅밸브: 하이록코리아(국내 1위), 비엠티, 디케이락
조선업의 수주 증가와 국내 EPC(설계, 자금조달, 시공까지 하는 프로젝트)종합업체의 중동 플랜트 수주물량 증가로 피팅업체의 수주량도 늘고 있다.
[관련 기업]
피팅업체: 태광(51%, 2010년 국내시장 점유율), 성광벤드(38%), AJS(10%).
계장용 피팅밸브: 하이록코리아(국내 1위), 비엠티, 디케이락
[피팅·밸브업체]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태광 | 27,100원 | ▼1,400원 (-4.9%) | 1,615 | 237 | 184 | 16.1 | 1.89 | 11.7% |
| 성광벤드 | 23,150원 | ▼1,150원 (-4.7%) | 1,594 | 317 | 236 | 18.9 | 2.14 | 11.3% |
| AJS | 911원 | ▼4원 (-0.4%) | 233 | 28 | 14 | 305.6 | 0.79 | 0.3% |
| 하이록코리아 | 19,900원 | ▼300원 (-1.5%) | 964 | 210 | 157 | 9.7 | 1.62 | 16.8% |
| 디케이락 | 9,000원 | ▼120원 (-1.3%) | 229 | 57 | 42 | 8.6 | 1.21 | 14% |
| 비엠티 | 4,585원 | ▲20원 (0.4%) | 235 | 30 | 21 | 10.4 | 0.69 | 6.6%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성광벤드]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산업용 관이음쇠(피팅) 제조업체 (태광과 함께 세계 시장 점유율 1·2위) |
|---|---|
| 사업환경 | ㅇ 국제 유가 상승으로 에너지 개발 수요가 늘어나면서 해양플랜트·석유화학 플랜트용 관이음쇠 수요 증가할 전망 ㅇ'스테인레스', '알로이' 등 고마진 제품 수요 증가로 관이음쇠 업체들의 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ㅇ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진행 중. 유럽 금융위기로 경쟁업체들의 경쟁력 약화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 |
| 경기변동 | 건설, 조선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음 |
| 주요제품 | ㅇ ELBOW: (매출 비중 87%) ㅇ TEE: (매출 비중 9%) ㅇ REDUCER: (매출 비중 3%) |
| 원재료 | ㅇ 파이프, 플레이트: 포스코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74%) ㅇ 피팅: 화진피에프 등에서 구입 (매입 비중 11%) ㅇ 외주가공: 금수산업 등에 위탁 (매입 비중 14%) |
| 실적변수 | ㅇ 유가 상승시 수혜 ㅇ 건설업체들의 플랜트 수주 증가시 수혜 ㅇ 조선업체들의 해양 플랜트 수주 증가시 수혜 ㅇ 수출 비중 커 환율 상승 시 수혜 |
| 리스크 | 유가 하락 시 에너지 개발 수요 둔화로 실적 감소할 수 있음 |
|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성광벤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성광벤드]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안 재 일 | 본인 | 보통주 | 9,359,897 | 32.73 | 7,359,897 | 25.73 | 시간외매매 |
| 안 갑 원 | 부 | 보통주 | 2,999,844 | 10.49 | 2,999,844 | 10.49 | - |
| 안 태 일 | 친인척 | 보통주 | 31,270 | 0.11 | 21,270 | 0.08 | 장내매도 |
| 김 경 조 | 모 | 보통주 | 229,681 | 0.80 | 229,681 | 0.80 | - |
| 최 정 혜 | 배우자 | 보통주 | 97,610 | 0.34 | 97,610 | 0.34 | - |
|
(주)성광벤드 사내근로복지기금 |
- | 보통주 | 922,541 | 3.23 | 922,541 | 3.23 | - |
| 계 | 보통주 | 13,640,843 | 47.70 | 11,630,843 | 40.67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