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V차트 우량주] 상신브레이크, 마찰재 국내 1위

12.08/31
형재혁
편집자주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 중에 실적에 비해 주가가 덜 오른 기업을 소개합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상신브레이크3,870원, ▲30원, 0.78%가 2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3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상신브레이크는 2분기 매출액은 58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1%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지분법 적용)은 각각 42억3800만원과 22억7400만원으로 164%와 70% 늘었다.

▷마찰재 국내 1위 기업... 시장 점유율 40% 넘어

상신브레이크는 지난 1953년 창립한 회사로 브레이크 패드(마찰재)를 생산한다. 마찰재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휠과 직접 맞닿아 마찰 운동을 통해 속도를 줄이는 부품이다. 신차 조립시 장착된 후, 노후 시 교체가 필요하다.

상신브레이크는 국내 1위 마찰재 제조업체로, 현대차253,000원, ▼-4,000원, -1.56%, 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에 납품한다. 지난해 국내 시장 점유율은 43%다. 주요 경쟁사는 새론오토모티브3,820원, ▲70원, 1.87%(점유율 24%)와 KB오토시스4,360원, ▼-30원, -0.68%(점유율 22%)다.



▷ 2010년부터 가파른 매출 증가...현대기아차 글로벌 판매량 증가 수혜

상신브레이크의 매출은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오다, 2010년부터 가파른 성장세를 탔다. 2010년과 지난해 각각 전년 대비 24%와 14%의 증가해 지난해 2009년 대비 41% 늘어난 219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 증가세는 주 고객사인 현대차253,000원, ▼-4,000원, -1.56%와 기아차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활용해 판매대수를 꾸준히 늘린 결과로 분석된다.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판매량은 2008년부터 10~24%의 증가율을 지속해 지난해 2007년 대비 약 79% 늘어난 659만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마찰재 시장의 40%를 넘게 점유한 상신브레이크가 수혜를 보게 된 것이다.



다만, 꾸준한 외형 성장과는 대조적으로 영업이익률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2010년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3%P 상승해 종전의 3.5%에서 5.8%로 높아졌지만, 지난해는 14%의 매출 증가에도 3.9%로 전년 대비 1.9%P 하락했다.

이는 현대기아차가 소위 '갑' 의 위치에서 납품 단가를 통제하는 상황에서 공장가동률과 원재료 가격에 따라 이익률이 결정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상신브레이크는 원자재 인상분을 거의 판매가 반영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난 2008년 주요 원재료인 '평량원자재'(2분기 매입 비중 56%)는 전년보다 29% 올라 KG당 3505원을 기록했지만, 주요 제품인 마찰재 패드와 라이닝(2분기 매출 비중 66%) 가격은 오히려 각각 10%와 38%가 내려 개당 2275원과 3088원을 기록했다. 특히 라이닝 가격은 2007년에서 지난해까지 두 해를 제외하고 모두 인하됐다. 



▷ 차입금 증가 추세...자회사와 유형자산에 투자

상신브레이크의 차입금은 지난 2010년 이후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2010년 1분기 229억원에서 올해 2분기 말 534억원으로 133% 늘었다. 이에 따라 차입금 비중도 18%에서 30%로 높아졌다.  

조달된 차입금은 해외 자회사 설립과 설비 투자에 투입됐다. 관계기업관련투자자산은 2010년 1분기 212억원에서 올해 2분기 335억원으로 58% 늘고, 유형자산은 295억원에서 494억원으로 67% 증가했다. 

상신브레이크는 지난 2010년 4월 인도 현지 생산법인인 SANGSIN BRAKE INDIA PRIVATE LIMITED(지분 100%)를 설립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미국 판매 법인인 SANGSIN BRAKE AMERICA, INC를 설립했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를 넘으면 재무 구조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종합적인 재무 상태를 고려하면 상신브레이크의 재무 안전성은 양호하다 할 수 있다. 2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현금회전일수가 78일이고, 이자보상배율이 3.3배로 1배 이상이며, 최근 4개 분기의 연환산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아이투자는 현금회전일수(매출채권 회전일수 + 재고자산 회전일수 - 매입채무 회전일수)가 120일을 초과하면 현금흐름이 원활치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3%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상신브레이크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20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56위(상위 3%)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현대기아차와 해외 동반 진출한 부품업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점유율 확대로 해외 동반 진출한 부품 업체의 성장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한미FTA, 한-EU FTA 체결에 따른 수혜도 예상된다. 현대/기아차가 진출한 인도, 중국, 미국, 유럽 등에 함께 진출해 있고, 해외 자회사를 통한 지분법 이익 비중이 늘어나는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

[부품업체 해외(인도,중국, 미국, 유럽) 진출 현황]
4개 지역 모두 진출 : 대원강업, 세종공업, 에스엘, 한라공조, 한일이화, 현대모비스, S&T대우, 동원금속
3개 지역 진출 : 동양기전, 성우하이텍, 평화정공, 화승알앤에이, 화신, 코리아에프티
2개 지역 진출 : 한국프랜지
1개 지역 진출 : 경창산업, 상신브레이크

[현대기아차와 해외 동반 진출한 부품업체]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대원강업 6,150 ▼110 (-1.8%) 3,668 240 171 10.4 1.17 11.2%
세종공업 12,650 ▼150 (-1.2%) 2,292 144 117 5.6 1.03 18.4%
에스엘 17,150 ▼450 (-2.6%) 2,879 102 210 11.5 1.28 11.1%
한라공조 24,500 ▲650 (2.7%) 10,854 966 792 11 1.97 17.9%
한일이화 9,010 ▼30 (-0.3%) 3,948 189 135 7.1 1.17 16.5%
현대모비스 308,000 ▼4,000 (-1.3%) 41,811 5,845 5,532 9.6 2.09 21.6%
S&T모티브 20,100 ▲100 (0.5%) 3,744 128 109 6.3 0.53 8.4%
동양기전 12,800 ▼150 (-1.2%) 3,405 271 266 12.2 1.68 13.8%
성우하이텍 13,650 ▼250 (-1.8%) 5,350 152 191 18.6 1.35 7.3%
평화정공 16,950 ▼300 (-1.7%) 2,317 60 124 8.6 1.48 17.1%
화승알앤에이 12,050 ▲50 (0.4%) 3,355 97 37 4.4 0.32 7.2%
화신 9,300 ▼180 (-1.9%) 3,060 319 33 14.8 1.11 7.5%
한국프랜지 13,300 ▲150 (1.1%) 3,286 62 1 6.8 0.39 5.7%
경창산업 4,880 ▼15 (-0.3%) 1,864 23 11 14.3 1.23 8.6%
상신브레이크 3,605 ▲25 (0.7%) 1,160 82 59 7.3 1.00 13.7%
코리아에프티 2,850 0 (0%) 1,181 68 69 N/A 2.07 0%
동원금속 1,845 ▲55 (3.1%) 2,530 220 124 3.1 0.96 30.6%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상신브레이크]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국내 수위의 브레이크 마찰재 제조업체
사업환경 ㅇ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현대·기아차 글로벌 점유율 상승으로 수혜를 받고 있음
ㅇ 한미FTA,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부품 구매 다변화 추세는 국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에 기회요인
ㅇ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완성차 업체들의 압도적인 가격 협상력 우위로 이익율이 대체로 낮음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완성차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주요제품 ㅇ 자동차 브레이크 마찰재 (매출 비중 92.8%)
ㅇ 세탁기용 밴드브레이크 라이닝 (매출 비중 7.2%)
원재료 ㅇ 평량원자재 : 마찰재용 (매입 비중 52%)
ㅇ 조립부푸 프레스물 (매입 비중 37%)
ㅇ 철판 (매입 비중 8%)
실적변수 ㅇ 완성차 판매량 증가시 수혜
ㅇ 글로벌 자동차 수요 회복시 수혜
리스크 경기민감형 산업으로 호황기와 불황기의 실적 차이가 매우 클 수 있음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상신브레이크]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6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1,160 2,192 1,928 1,557
영업이익(보고서) 82 106 111 54
영업이익률(%) 7.1% 4.8% 5.8% 3.5%
영업이익(K-GAAP) 73 86 111 54
영업이익률(%) 6.3% 3.9% 5.8% 3.5%
순이익(지배) 59 73 136 59
순이익률(%) 5.1% 3.3% 7.1% 3.8%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7.33
이시각 PBR 1.00
이시각 ROE 13.70%
5년평균 PER 8.71
5년평균 PBR 0.86
5년평균 ROE 11.29%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상신브레이크] 주요주주

(기준일 : 2011년 12월 31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정성한 본인 보통주 2,648,943 12.34 2,648,943 12.34 -
정도철 친인척 보통주 1,709,000 7.96 1,709,000 7.96 -
김경란 친인척 보통주 712,000 3.32 712,000 3.32 -
조중호 친인척 보통주 647,900 3.02 647,900 3.02 -
김명균 친인척 보통주 550,000 2.56 550,000 2.56 -
김혜정 친인척 보통주 550,000 2.56 550,000 2.56 -
이현실 친인척 보통주 350,106 1.63 350,106 1.63 -
최성실 친인척 보통주 120,780 0.56 120,780 0.56 -
유영근 임원 보통주 47,180 0.22 47,180 0.22 -
김완규 계열사임원 보통주 420,000 1.96 429,290 2.00 -
정영혜 친인척 보통주 0 0 9,010 0.04 -
듀오정보 계열사 보통주 2,140,000 9.97 2,540,000 11.83 -
보통주 9,895,909 46.09 10,314,209 48.04 -
우선주 0 0 0 0 -
기 타 0 0 0 0 -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