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2Q 리뷰] 면화가격 하락...화섬업체 울상
최근 면화가격이 하락하며 화학섬유 업체들이 부진한 실적을 보여 관심을 끈다. 아이투자는 16일 최근 반기보고서를 발표한 주요 화학섬유 업체 웅진케미칼, 카프로3,660원, 0원, 0%, 태광산업816,000원, ▲28,000원, 3.55%의 실적을 집계했다. 3곳 모두 화학섬유 및 관련 재료를 주요 품목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 2분기(4~6월) 동안 면화가격은 22% 하락해 주요 원자재 중에서 가장 큰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면화가격 하락은 면섬유 가격의 하락을 일으켜 대체제인 화학섬유의 수요를 감소시키게 된다. 실제로 화학섬유 업체 3곳 모두 매출액이 감소했다.
대체재란 재화 중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수 있는 재화로 경쟁재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대체재가 존재하면, 한 상품의 가격이 비싸지거나 공급이 감소할 경우 다른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 주요 화섬업체 모두 매출감소...태광산업은 적자전환
3곳 중 가장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록한 태광산업은 2분기에 7037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다. 영업이익은 109억원, 순이익은 32억원의 적자로 모두 적자전환 했다. 매출액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 때문이다. 매출에서 원가를 차감한 값인 매출 총이익이 지난해 1035억원에서 82% 급감한 178억원으로 줄었다.
이 회사는 화학섬유의 원료부터 실을 만들어 천을 짜는 직물까지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수직 계열화된 생산체제를 갖췄다. 주요제품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순도테레프탈산(PTA), 화학섬유용 실인 화섬사다. 1분기 매출비중은 화학제품(PTA 포함) 72%, 섬유(화섬사, 직물 등) 25%다.
영업이익 감소율이 가장 낮았던 웅진케미칼의 2분기 매출액은 25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줄었다. 영업이익은 88억원으로 32%, 순이익은 38억원으로 55% 감소했다. 판매관리비와 기타영업비용의 증가가 주로 반영됐다.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판매관리비는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15% 증가한 261억원을 기록했으며, 기타 영업비용도 지난해 29억원에서 올해 47억원으로 늘었다.
웅진케미칼은 화학섬유와 수처리필터를 생산한다. 의류용 화학섬유를 생산하는 태광산업과는 달리 주로 산업재에 사용되는 화학섬유를 생산하고 있어 이익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매출 비중은 화학섬유 86%, 필터 14%다.
카프로의 2분기 매출액은 25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 3개사 중 매출 감소율이 가장높았다. 영업이익은 197억원으로 66% 줄었고 순이익은 165억원으로 62% 감소했다. 매출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이익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카프로는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을 생산한다. 나일론은 화학섬유 및 산업용 기초소재로 사용된다. 이 제품의 국내 유일 생산업체로 국내시장 총 수요의 86%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비료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유안비료도 생산한다. 2분기 매출의 99%를 카프로락탐과 유안비료에서 올렸다.

지난 2분기(4~6월) 동안 면화가격은 22% 하락해 주요 원자재 중에서 가장 큰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면화가격 하락은 면섬유 가격의 하락을 일으켜 대체제인 화학섬유의 수요를 감소시키게 된다. 실제로 화학섬유 업체 3곳 모두 매출액이 감소했다.
대체재란 재화 중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수 있는 재화로 경쟁재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대체재가 존재하면, 한 상품의 가격이 비싸지거나 공급이 감소할 경우 다른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 주요 화섬업체 모두 매출감소...태광산업은 적자전환
3곳 중 가장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록한 태광산업은 2분기에 7037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다. 영업이익은 109억원, 순이익은 32억원의 적자로 모두 적자전환 했다. 매출액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 때문이다. 매출에서 원가를 차감한 값인 매출 총이익이 지난해 1035억원에서 82% 급감한 178억원으로 줄었다.
이 회사는 화학섬유의 원료부터 실을 만들어 천을 짜는 직물까지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수직 계열화된 생산체제를 갖췄다. 주요제품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순도테레프탈산(PTA), 화학섬유용 실인 화섬사다. 1분기 매출비중은 화학제품(PTA 포함) 72%, 섬유(화섬사, 직물 등) 25%다.
영업이익 감소율이 가장 낮았던 웅진케미칼의 2분기 매출액은 25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줄었다. 영업이익은 88억원으로 32%, 순이익은 38억원으로 55% 감소했다. 판매관리비와 기타영업비용의 증가가 주로 반영됐다.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판매관리비는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15% 증가한 261억원을 기록했으며, 기타 영업비용도 지난해 29억원에서 올해 47억원으로 늘었다.
웅진케미칼은 화학섬유와 수처리필터를 생산한다. 의류용 화학섬유를 생산하는 태광산업과는 달리 주로 산업재에 사용되는 화학섬유를 생산하고 있어 이익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매출 비중은 화학섬유 86%, 필터 14%다.
카프로의 2분기 매출액은 25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 3개사 중 매출 감소율이 가장높았다. 영업이익은 197억원으로 66% 줄었고 순이익은 165억원으로 62% 감소했다. 매출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이익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카프로는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을 생산한다. 나일론은 화학섬유 및 산업용 기초소재로 사용된다. 이 제품의 국내 유일 생산업체로 국내시장 총 수요의 86%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비료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유안비료도 생산한다. 2분기 매출의 99%를 카프로락탐과 유안비료에서 올렸다.
[화학 섬유, 첨단 소재 업체] 이슈와 수혜주
대표적인 사양산업이던 섬유산업이 아웃도어 열풍과 첨단 소재 개발에 힘입어 성장산업으로 변신함에 따라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국내 화학섬유 업체는 전통 섬유시장을 중국에 내주는 대신 타이어코드, 스판덱스, 아라미드, 탄소섬유 등 고부가가치 소재 부문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화학 섬유업계 주요 제품]
- 효성 : 원래 길이 보다 5~8배 늘어나는 탄성을 갖고 있는 '스판덱스'가 주력 상품이다. 스판덱스 생산 능력은 전 세계 시장의 27%를 차지해 세계 1위다.
- 코오롱인더스트리 : 강철의 5배 수준의 고강도 특수섬유인 '아라미드' 성장이 예상된다. 미국의 듀폰사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미 법원에 소소을 제기한 바 있다. 메리츠증권은 코오롱인더스크리가 소송에서 최종 패소할 경우, 최고 9억1990만달러를 배상해야 하며 이 경우 기업가치는 25% 훼손될 것으로 전망했다.
- 태광산업 :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 스판덱스, 아크릴섬유를 주로 생산한다. 아크릴 섬유의 경우 국내 시장의 48%를 점유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 PTA는 15.7%를 생산하고 있다.
- 웅진케미칼 : 슈퍼 섬유로 각광 받고 있는 고내열성 섬유 중 '메타아라미드' 섬유 사업에 진출중이다. 환경 소재 부문에서는 수처리 필터 전문 메이커로서 글로벌 3대 메이저 기업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그외 디스플레이용(OLED) 광학소재 개발도 향후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카프로 : 화학섬유 중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만드는 회사다. 주요주주인 코오롱인더스트리와 효성에 주로 납품한다.
[저작권자ⓒ 한국투자교육연구소 www.kieri.co.kr]
국내 화학섬유 업체는 전통 섬유시장을 중국에 내주는 대신 타이어코드, 스판덱스, 아라미드, 탄소섬유 등 고부가가치 소재 부문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화학 섬유업계 주요 제품]
- 효성 : 원래 길이 보다 5~8배 늘어나는 탄성을 갖고 있는 '스판덱스'가 주력 상품이다. 스판덱스 생산 능력은 전 세계 시장의 27%를 차지해 세계 1위다.
- 코오롱인더스트리 : 강철의 5배 수준의 고강도 특수섬유인 '아라미드' 성장이 예상된다. 미국의 듀폰사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미 법원에 소소을 제기한 바 있다. 메리츠증권은 코오롱인더스크리가 소송에서 최종 패소할 경우, 최고 9억1990만달러를 배상해야 하며 이 경우 기업가치는 25% 훼손될 것으로 전망했다.
- 태광산업 :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 스판덱스, 아크릴섬유를 주로 생산한다. 아크릴 섬유의 경우 국내 시장의 48%를 점유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 PTA는 15.7%를 생산하고 있다.
- 웅진케미칼 : 슈퍼 섬유로 각광 받고 있는 고내열성 섬유 중 '메타아라미드' 섬유 사업에 진출중이다. 환경 소재 부문에서는 수처리 필터 전문 메이커로서 글로벌 3대 메이저 기업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그외 디스플레이용(OLED) 광학소재 개발도 향후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카프로 : 화학섬유 중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만드는 회사다. 주요주주인 코오롱인더스트리와 효성에 주로 납품한다.
[저작권자ⓒ 한국투자교육연구소 www.kieri.co.kr]
[화학 섬유, 첨단 소재 업체]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효성 | 60,500원 | ▲1,300원 (2.2%) | 23,033 | 1,551 | 1,123 | N/A | 0.73 | -0.9% |
| 태광산업 | 931,000원 | ▼2,000원 (-0.2%) | 6,946 | 62 | 81 | 5.9 | 0.50 | 8.5% |
| 웅진케미칼 | 733원 | ▼2원 (-0.3%) | 2,641 | 98 | 52 | 70.1 | 1.10 | 1.6% |
| 코오롱인더 | 70,000원 | ▲700원 (1%) | 10,301 | 703 | 520 | 5.6 | 0.95 | 17% |
| 카프로 | 15,500원 | ▲150원 (1%) | 2,855 | 228 | 176 | 5 | 1.25 | 25% |
| 성안 | 1,035원 | ▲35원 (3.5%) | 252 | 17 | 12 | 15.4 | 0.76 | 5%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웅진케미칼]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웅진그룹 계열 화학섬유업체로 폴리에스터가 주력제품 |
|---|---|
| 사업환경 | ㅇ 폴리에스터 단섬유 (37%, 국내 시장 점유율), 장섬유 (9%) ㅇ 중국의 화학섬유 수요 증가로 성장세 유지 ㅇ 장기적으로 중국 내 대규모 화섬 생산시설 증설로 경쟁심화 예상 |
| 경기변동 | 의류업계 시황에 민감. 지역별 자유무역협정 증가로 국가간 섬유교역량은 증가하는 추세 |
| 주요제품 | ㅇ 화섬부문: 폴리에스터 장섬유, 단섬유 (86%, 매출 비중) ㅇ 비화섬부문: 수처리 필터 (13%) |
| 원재료 | ㅇ 화섬부문: TPA, EG등 화학제품 (77%, 매입 비중) ㅇ 비화섬부문: 부직포, 원사, 염료 등 (23%) |
| 실적변수 | ㅇ 국제 유가, 환율에 따라 원자재비 등락 ㅇ 신규사업인 수처리, 첨단 섬유등의 약진 |
| 리스크 | 경기불황시 화섬수요 감소 |
| 신규사업 | 고내열성 메타아라마이드 섬유사업 진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웅진케미칼]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웅진케미칼]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웅진코웨이(주) | 본인 | 보통주 | 214,644,092 | 45.24 | 214,644,092 | 46.30 | - |
| 윤석금 | 임원 | 보통주 | 40,973,293 | 8.64 | 40,973,293 | 8.84 | - |
| 웅진캐피탈(주) | 계열사 | 보통주 | 0 | 0.00 | 1,156,520 | 0.25 | - |
| 웅진루카스투자자문(주) | 계열사 | 보통주 | 2,700,000 | 0.57 | 0 | 0.00 | 계열사 제외 |
| 웅진케미칼(주) | 계열사 | 보통주 | 10,049,641 | 2.12 | 3,931,641 | 0.85 | - |
| 박찬구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18,650 | 0.00 | 20,120 | 0.00 | - |
| 홍준기 | 임원 | 보통주 | 200,000 | 0.04 | 200,000 | 0.04 | - |
| 윤춘호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166,910 | 0.04 | 166,910 | 0.04 | - |
| 최창규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104,470 | 0.02 | 104,470 | 0.02 | - |
| 김범철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16,680 | 0.00 | 16,680 | 0.00 | - |
| 제해찬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30,000 | 0.00 | 0 | 0.00 | 임원퇴임 |
| 윤형덕 | 기타 | 보통주 | 2,521,000 | 0.53 | 2,521,000 | 0.54 | - |
| 윤새봄 | 기타 | 보통주 | 2,483,000 | 0.52 | 2,483,000 | 0.53 | - |
| 윤양용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50,000 | 0.01 | 50,000 | 0.01 | - |
| 문무경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130,000 | 0.02 | 130,000 | 0.03 | - |
| 박준우 | 계열사임원 | 보통주 | 0 | 0.00 | 3,590 | 0.00 | 등기이사 신규선임 |
| 계 | 보통주 | 274,087,736 | 57.76 | 266,401,316 | 57.45 | - | |
| 우선주 | 0 | 0.00 | 0 | 0.0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