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넥센타이어, 국민연금 2% 추가 취득.."2Q 실적 굿?"


넥센타이어가 2분기에도 매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민연금이 지분 2%를 추가 취득해 10일 개장을 앞둔 주가 추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2분기 예상 매출액 사상 최대 + 국민연금 추가 매수

지난 4일 KB투자증권은 넥센타이어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을 4310억원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29% 증가한 수치다. 사상 최대 매출을 올린 지난 분기보다도 6% 늘어나 2분기 연속 사상 최대 매출 경신이 예상된다.

또한 지난달 20일 동부증권은 2분기 예상 매출액을 4320억원으로 전망했다. KB투자증권보다 10억원 많은 수치다. 창녕 신공장 가동에 따른 공급능력 확대와 수출 및 내수부문의 수요 개선이 이 같은 실적 성장의 이유로 제시됐다.

국민연금의 지분확대도 넥센타이어의 성장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일 국민연금은 넥센타이어 지분을 기존 5.93%에서 8.01%로 확대했다고 공시했다. 2.08%의 지분을 추가 취득한 것으로 4월 12일과 5월 21일 두차례에 걸쳐 총 197만3824주를 장내매수 했다.

▷ 국내 3위 타이어 제조사···시장점유율 20% → 24%로 확대

넥센타이어는 시장점유율 기준 국내 3위권의 자동차 타이어 제조사다. 양산과 중국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량 증가를 위해 올해 3월에 창녕 공장을 완공했다. 현재 창녕공장은 1차 완공 상태로 오는 2017년 까지 5678억원이 추가로 투입돼 지속적인 설비증설을 할 계획이다.

또한 회사측은 신차에 탑재되는 OE(Original Equipment)타이어의 점유율 확대와 브랜드 마케팅을 진행해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지난 2008년 20%던 국내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24%로 확대됐다.

넥센타이어는 타이어가 매출비중 100%를 차지한다. 타이어 산업은 대표적인 장치산업으로 대규모 자본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다. 국내 타이어 시장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58,900원, ▲500원, 0.86%, 금호타이어5,460원, ▲110원, 2.06%, 넥센타이어 3개사의 과점형태를 띤다. 원재료인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원재료 가격 변동과 환율 변동에 민감하다.

최근 제품가격은 올랐으나 원재료 가격은 하락해 타이어 업체들은 실적 개선을 보였다. 넥센타이어는 제품가격이 개당 평균 5만9881원에서 6만2476원으로 4% 증가했고 원재료인 천연고무 가격은 지난해 톤당 543만원에서 434만원으로 20%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74.6%였던 매출원가는 71.4%로 감소했다.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31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늘어났다. 원재료가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476억원으로 38%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380억원으로 15% 늘어났다. 자회사의 실적을 반영한 순이익은 413억원이다. 1분기 실적을 반영한 현재 주가수익배수(PER)는 19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3.1배다. 최근 5년간 평균 PER 15배, PBR 1.7배 대비 높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32%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넥센타이어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3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561위(상위 32%)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보통으로 위험은 높지 않은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밸류에이션과 현금 창출력은 낮은 점수를 받았다. 현재 PER이 최근 5년 평균 PER보다 높은 점 등이 밸류에이션 점수에 반영됐고 재무활동 현금흐름 (+), 잉여현금흐름이 (-) 인 점 등이 반영돼 낮은 평가를 받았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타이어 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타이어 수요는 자동차 생산량과 등록 대수에 비례한다. 주요 원재료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코드지 등 석유화학 제품이다. 원재료 비중이 높아 판매가와 원재료비 차이가 주요 실적변수다. 대규모 설비와 노동력이 필요한 산업으로 상위 3개 업체가 국내 시장 대부분을 과점하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실적 호조로 국내 타이어 업체의 실적도 상승 추세며 중국의 자동차 수요가 늘어나면 수혜가 예상된다.

[주요기업]
한국타이어(50%), 금호타이어(25%), 넥센타이어(21%), 동아타이어(재생타이어 중심), 넥센(넥센타이어 모회사)
* 2010년 매출액 순. 괄호 안은 시장점유율.

[타이어 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한국타이어 42,100 ▼850 (-2%) 10,721 1,742 1,403 20.9 2.25 10.7%
금호타이어 14,800 ▲200 (1.4%) 8,573 612 172 20.5 2.58 12.6%
넥센타이어 19,500 ▲50 (0.3%) 3,171 476 380 19.3 3.13 16.2%
동아타이어 11,700 0 (0%) 949 80 76 10.9 0.61 5.6%
넥센 60,200 ▲600 (1%) 540 40 43 27.8 0.73 2.6%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넥센타이어]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자동차 타이어 생산·판매 업체
사업환경 ㅇ 중국 등 신흥국들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지속적인 수요가 증가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
ㅇ 선진국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교체수요가 주로 존재
경기변동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받는 산업이나, 교체용 수요 증가로 다른 경기민감형 산업보다는 제품 수요가 꾸준한 편임
주요제품 ㅇ 차량용 타이어
원재료 ㅇ 천연고무
ㅇ 합성고무
ㅇ 타이어코드
ㅇ 카본블랙
실적변수 ㅇ 국내외 자동차 판매수·보유대수 증가시 수혜
ㅇ 원자재(천연고무 등) 가격 하락시 수혜
리스크 ㅇ 신차 판매량 감소시 매출 감소
ㅇ 원자재(천연고무 등) 가격 상승시 원가 상승
신규사업 ㅇ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넥센타이어]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2.3월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매출액 3,171 11,770 10,803 9,662
영업이익(보고서) 476 1,174 1,018 1,622
영업이익률(%) 15% 10% 9.4% 16.8%
영업이익(K-GAAP) 424 1,011 1,018 1,622
영업이익률(%) 13.4% 8.6% 9.4% 16.8%
순이익(지배) 380 908 767 1,143
순이익률(%) 12% 7.7% 7.1% 11.8%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9.32
이시각 PBR 3.13
이시각 ROE 16.20%
5년평균 PER 31.42
5년평균 PBR 3.40
5년평균 ROE 13.62%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넥센타이어] 주요주주

(기준일 : 2011년 12월 31일)(단위 : 천주, %)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넥센최대주주보통주30,00031.6130,00031.61-
강병중대주주보통주20,00021.0720,00021.07-
강호찬대주주보통주10,23310.7810,23310.78-
보통주60,23363.4660,23363.46-
우선주0000-
기 타0000-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