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핫이슈] 금융株, 경기부양 기대감+저평가 분석에 ‘활짝’
[아이투자 이래학] 금융주가 유럽·미국의 경기부양 기대감과 저평가 매력이 부각된 가운데 강세다.
7일 오전 10시 50분 현재 우리금융지주26,100원, ▲350원, 1.36%, 하나금융지주92,800원, ▲2,000원, 2.2%, KB금융지주, 신한지주78,900원, ▲1,400원, 1.81%가 각각 3%~6% 상승세다. 기업은행20,400원, ▲250원, 1.24%, 외환은행, 제주은행12,300원, ▲240원, 1.99%, 전북은행 역시 1%~6%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 시각) 유럽당국은 스페인의 은행권 구제금융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 총재들도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통화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호재에 힘입어 전일 미국 시장에서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7%대 급등하며 다우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씨티그룹과 JP모간도 각각 5%, 3% 올랐다.
이날 은행업종 주가가 자본훼손을 감안한 수치보다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HMC투자증권은 “현재 은행업종 주가는 2012년 연초 저점 수준으로 하락한 상태”라며 “유럽은행 자본확충으로 신용경색과 부실채권(NPL) 확산 우려가 완화될 경우 은행업종 주가할인 폭은 축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은행주를 비롯한 금융지주회사의 현재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배 미만을 형성하고 있다. PBR이 1배 미만이라는 것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다. 
[금융지주 및 은행주] 이슈와 수혜주
따라서 금융지주와 은행업종에 투자하기 가장 좋은 시점은 경기 불황과 낮은 금리로 인해 주가순자산배수(PBR)가 역대 최저치에 거래되는 시점이다.
대형 금융지주사의 최저 PBR 수준은 0.7~0.9배, 최고 PBR은 1.8~2.2배 수준이다. 전문 은행들의 최저 PBR 수준은 0.5~0.7배, 최고 PBR은 1.2~1.4배 수준이다.
금융지주사 :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DGB금융지주, BS금융지주
은행 : 외환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기업은행
[금융지주 및 은행주]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신한지주 | 39,250원 | ▲1,250원 (3.3%) | -2,614 | 124 | 0 | 10.8 | 0.93 | 8.6% |
| KB금융 | 38,100원 | ▲1,350원 (3.7%) | -146 | 207 | 0 | N/A | 0.80 | -0.4% |
| 하나금융지주 | 38,000원 | ▲1,650원 (4.5%) | -231 | 200 | 0 | 47.9 | 0.68 | 1.4% |
| 한국금융지주 | 38,500원 | ▲1,450원 (3.9%) | -287 | 0 | 0 | 7.5 | 0.91 | 14.3% |
| DGB금융지주 | 14,350원 | ▲600원 (4.4%) | -2 | 25 | 0 | 35.1 | 0.86 | 2.5% |
| 외환은행 | 8,380원 | ▲240원 (3%) | 23,964 | 5,617 | 7,521 | 3.2 | 0.62 | 19.2% |
| 제주은행 | 5,000원 | ▲300원 (6.4%) | 840 | 220 | 0 | 4.6 | 0.42 | 9% |
| 전북은행 | 4,515원 | ▲45원 (1%) | 2,975 | 842 | 0 | 4.1 | 0.46 | 11.5% |
| 기업은행 | 12,600원 | ▲550원 (4.6%) | 44,628 | 7,010 | 0 | 4.2 | 0.50 | 11.9%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1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우리금융]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우리은행 등 11개의 계열사를 거느린 지주회사 |
|---|---|
| 사업환경 | 은행업은 규제강화로 성장성이 제한되고 있으며 M&A를 통해 경쟁구도가 재편될 것으로 전망 |
| 경기변동 | 경기 변동과 정부의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음 |
| 실적변수 | 예대마진 개선시 수혜, 예치금 증가시 수혜, BIS 비율 증가시 수혜 |
|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