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와이솔, 목표가 2만500원 유지···"갤럭시3 수혜"
[아이투자 김구민]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4일 와이솔5,770원, ▼-10원, -0.17%에 대해 삼성전자의 갤럭시3 출시로 인한 수혜를 기대하며 목표가 2만500원을 유지했다. 투자의견도 매수를 유지했다. 와이솔의 이날 마감가는 1만4550원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신규 출시될 갤럭시3 모델에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와이솔 제품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삼성전자 휴대폰의 시장점유율도 확대되고 있어 제품 공급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따라 와이솔의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1495억원, 영업이익은 80% 급증한 22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이 증권사 박종선 연구원은 "와이솔이 2분기내에 LG전자를 신규고객으로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매출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덧붙여 시장 확대에 따라 공장 증설도 완만히 추진되고 있어 1분기 월 135억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가 연말쯤에는 195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와이솔은 국내 유일 휴대폰 소(SAW)필터 제조업체다. 소필터는 휴대폰에서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해주는 부품으로 삼성전자에 납품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내 수요량의 40%를 공급한다.
와이솔에 매수의견을 제시한 5개 증권사의 최근 3개월 목표주가 컨센서스는 지난 3일 기준 2만2300원이다.
[투자포인트]
-갤럭시3 출시로 제품 공급 확대

유진투자증권은 신규 출시될 갤럭시3 모델에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와이솔 제품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삼성전자 휴대폰의 시장점유율도 확대되고 있어 제품 공급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따라 와이솔의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1495억원, 영업이익은 80% 급증한 22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이 증권사 박종선 연구원은 "와이솔이 2분기내에 LG전자를 신규고객으로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매출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덧붙여 시장 확대에 따라 공장 증설도 완만히 추진되고 있어 1분기 월 135억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가 연말쯤에는 195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와이솔은 국내 유일 휴대폰 소(SAW)필터 제조업체다. 소필터는 휴대폰에서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해주는 부품으로 삼성전자에 납품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내 수요량의 40%를 공급한다.
와이솔에 매수의견을 제시한 5개 증권사의 최근 3개월 목표주가 컨센서스는 지난 3일 기준 2만2300원이다.
[투자포인트]
-갤럭시3 출시로 제품 공급 확대

[4세대 이동통신(LTE) 인프라 수혜]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확산으로 데이터 전송량의 급증했다. 이에 더 빠르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4세대(4G) 이동통신 도입이 본격화됐다. 4G 이동통신은 대부분 LTE 방식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2011년 7월 LTE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고, LG유플러스는 2012년 3월, SK텔레콤은 2012년 4월 전국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KT도 2G서비스를 종료하고 LTE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한편,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Strategy Analytics는 우리나라 LTE 휴대폰 판매량이 2012년 300만대에서 2016년 133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LTE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장비업체와 LTE 휴대폰 부품업체의 수혜가 기대된다.
[4G 이동통신 인프라 수혜 기업]
통신사업자: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단말기 제조: 삼성전자, LG전자
단말기 부품: 대덕전자, 와이솔
중계기 장비: CS, 영우통신
기지국 장비, 부품: 삼성전자,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웨이브일렉트로, 에이스테크
유선통신: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이노와이어, 유비벨록스, 인프라웨어
LTE망 구축 스캔(SCAN)용 광전송 장비 : SNH
LTE 네트워크 보안 : 윈스테크넷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2011년 7월 LTE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고, LG유플러스는 2012년 3월, SK텔레콤은 2012년 4월 전국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KT도 2G서비스를 종료하고 LTE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한편,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Strategy Analytics는 우리나라 LTE 휴대폰 판매량이 2012년 300만대에서 2016년 133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LTE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장비업체와 LTE 휴대폰 부품업체의 수혜가 기대된다.
[4G 이동통신 인프라 수혜 기업]
통신사업자: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단말기 제조: 삼성전자, LG전자
단말기 부품: 대덕전자, 와이솔
중계기 장비: CS, 영우통신
기지국 장비, 부품: 삼성전자,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웨이브일렉트로, 에이스테크
유선통신: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이노와이어, 유비벨록스, 인프라웨어
LTE망 구축 스캔(SCAN)용 광전송 장비 : SNH
LTE 네트워크 보안 : 윈스테크넷
[4세대 이동통신(LTE) 인프라 수혜]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CS | 7,000원 | ▲350원 (5.3%) | 454 | -44 | -44 | N/A | 2.19 | -11.5% |
| 이수페타시스 | 5,360원 | 0원 (0%) | 3,020 | 188 | 125 | 15.2 | 1.45 | 8.2% |
| 대덕전자 | 11,300원 | ▼350원 (-3%) | 6,557 | 540 | 422 | 13.1 | 1.43 | 11% |
| 웨이브일렉트로 | 1,975원 | ▲30원 (1.5%) | 201 | -34 | -56 | N/A | 0.70 | -18.9% |
| 다산네트웍스 | 6,110원 | ▲60원 (1%) | 1,306 | 12 | 9 | 17.8 | 0.78 | 0.6% |
| 유비쿼스 | 4,295원 | ▲50원 (1.2%) | 737 | 143 | 168 | 5.4 | 0.71 | 13.1% |
| 이노와이어 | 26,450원 | ▼250원 (-0.9%) | 550 | 113 | 120 | 13.2 | 2.43 | 18.4% |
| 유비벨록스 | 26,400원 | ▼300원 (-1.1%) | 939 | 117 | 98 | 14.9 | 2.71 | 18.2% |
| 인프라웨어 | 10,000원 | ▲160원 (1.6%) | 311 | 43 | 28 | 65.1 | 2.53 | 3.9% |
| SNH | 1,930원 | ▲35원 (1.9%) | 393 | 39 | 39 | 8.4 | 0.79 | 9.4% |
| 엔텔스 | 12,150원 | ▲200원 (1.7%) | 460 | 65 | 57 | 7.1 | 1.53 | 21.7% |
| 영우통신 | 5,570원 | ▲70원 (1.3%) | 419 | 40 | 23 | 27.4 | 0.96 | 3.5% |
| 에이스테크 | 3,975원 | ▲15원 (0.4%) | 1,480 | 259 | 253 | 2.6 | 0.55 | 20.9% |
| 와이솔 | 14,550원 | ▲400원 (2.8%) | 869 | 112 | 87 | 23.5 | 3.51 | 19.6% |
| 윈스테크넷 | 7,990원 | ▲330원 (4.3%) | 418 | 80 | 61 | 11.9 | 2.12 | 15.7% |
| 우리넷 | 3,210원 | ▲5원 (0.2%) | 399 | 38 | 38 | 5.2 | 0.65 | 12.4% |
| 코위버 | 2,190원 | ▼10원 (-0.5%) | 451 | 26 | 17 | 12.4 | 0.38 | 3%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1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와이솔]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