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주식투자 기대수익률 8.7%, 전일비 0.4%P↑

11.11/11
시장분석팀™
[아이투자 시장분석팀] 지난 10일 종가 기준 주식투자 기대수익률은 8.77%로 전일 대비 0.42% 포인트 올랐다. 코스피 지수가 전일 대비 4.9% 급락하면서 스프레드도 3.7% 포인트로 증가했다. 스프레드가 3.7% 포인트를 기록한 것은 지난 10월 12일 이후 약 한 달만에 처음이다. 채권투자 기대수익률의 기준이 되는 국고채 3년 금리는 3.38%로 전일과 같았다.

스프레드가 커질수록 주식이 매력적이란 뜻이다. 스프레드에 따른 투자전략은 주식과 현금 비중을 결정할 때 유용하다. 스프레드가 줄면, 주식 비중을 낮추고 현금 비중을 높인다. 반대로 스프레드가 늘면,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좋다.

[표1] FED 모형 활용법
시장분석 지표 (1) FED모형
스프레드
(11월10일기준)
3.70%P (전일대비 ▲ 0.42%P)
* 5년내 최고 4.46%P, 최저 (-)4.43%P, 평균 (-)0.55%P
내용 및 해석 1) 주식투자 기대수익률(1/PER)과 국채수익률을 비교해 주식시장 매력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2) 주식투자 기대수익률에서 (국채수익률*1.5)를 뺀 스프레드가 높을 수록 주식투자 비중을 높입니다.
3) 스프레드 높아질 때는 주식비중을 높이고, 스프레드가 낮아지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주식투자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좋습니다.
업데이트/발표 매일
데이터 한국은행, 전자공시
(자료: 아이투자 www.itooza.com)

FED 모형은 PER의 역수와 국고채 금리의 차이(스프레드)를 이용해 주식과 채권의 상대적인 매력도를 평가한다. 상대적으로 채권이 안전한 자산임을 고려해 채권투자 기대수익률은 국고채 금리(3년)를 50% 할증해 계산한다. 과거 10년치 스프레드 분석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은 스프레드가 5%P 이상 벌어지면 저평가된 주식이 매우 많은 상태가 된다.

[표2] 스프레드 변화와 종합 주가지수 추이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