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에스피지, 2007년은 턴어라운드의 해

07.06/25
ValueSniper

에스피지25,750원, ▲250원, 0.98%는 국내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시장의 52%를 차지하고 있는 업체이다.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란 일반 모터 앞에 기어박스(gear box)를 장착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힘을 얻고자 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문이 열릴때라든지,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때 등등 우리 일상 생활에서 기어드 모터는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기어드 모터'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전기적인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소형모터에 속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사각형 모양의 기어박스를 장착한다. 기어박스를 장착함으로써 1,000이 넘는 소형모터의 rpm은 100 정도로 줄어들지만, 그만큼 큰 힘을 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기어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기어드 모터'의 사용범위는 상당히 광범위하다. 컨베이어 구동에서 부터, Ticket 개찰기, 의료용 침대, CCTV 등 다양한 제품에 기어드 모터가 사용된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각 제품의 규격에 맞는 기어드 모터를 개발할 필요가 생겼으며, 때문에 동사에서는 4천여 종류의 제품을 주문 제작의 방식으로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다.

원래 '기어드 모터' 시장은 일본 '오리엔탈'이 국내 시장을 석권하고 있던 시장이었다. 그러나 국내 업체들의 즉각적인 요구사항에 대한 반응이 늦고, 단가도 높다보니 자연스럽게 동사가 파고들 틈이 생기게 되었고, 기술력과 대응력을 갖추게 되면서 M/S 확대가 가능했다.

현재 동사는 약 110여개의 가전업체와 거래선이 구축되어 있으며,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하여 Maytag, Frigidaire 등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에게도 공급하고 있다. 가전업체에 주로 납품되는 제품은 냉장고 내 얼음 분쇄기용 모터이며, 가전업체 향 제품의 마진은 높지 않다.

동사의 주요 제품은 '표준 AC 기어드 모터'가 전체 매출의 33%를 차지하고 있고, 'Shaded Pole 기어드 모터'가 24%, 'BLDC 기어드 모터' 22%, '표준 DC 기어드 모터'가 12%를 구성하고 있다. 이 중 '표준 AC 기어드 모터'와 'Shaded Pole 기어드 모터'가 주력이며, 대부분의 마진은 '표준 AC 기어드 모터'를 통해 확보되고 있다.

그동안 왜 어려웠나?

이렇게 강력한 해자를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006년도에는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매출의 30~40%를 수출하지만, 원재료는 90%이상 국내에서 조달하다 보니 환율하락을 상쇄시킬 수 있는 여지가 없었던 데에 있다. 국내 경쟁업체들의 규모가 대부분 영세한 상황이고, 일본업체들은 구조적으로 경쟁이 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경쟁 심화에 따른 실적악화는 아니었다.

매출은 늘어나고 있지만, 주로 쓰이는 구리와 같은 원자재가격 상승과 환율 악화로 인해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었던 것이다. 게다가 해외법인이 가동된지 얼마 되지 않아 지분법 손실이 반영되다 보니 급기야 적자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턴어라운드 움직임

동사는 작년 12월과 올해 5% 정도 단가 인상을 단행하게 되었다. 일본 스미토모 향 물량부터 단가를 인상하였는데, 국내에서는 사실상 동사 이외에 대안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단가 인상이 가능했다. 단가인상과 환율 및 원자재가격이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2007년 1분기에 턴어라운드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해외 법인들도 흑자로 돌아서면서 순이익을 두텁게 해주었다.

동사는 현재 미국과 중국 시장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는데, 대리점을 확충하면서 본격적인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에서는 '하이얼'에도 납품하고 있으며, 미국의 메이저 업체들에 대한 영업도 공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향후 동사가 성장하는데 큰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2005년 8월부터 '에너지관리공단'으로부터 고효율 모터 개발자금 지원을 6년간 받고 있는데, 고효율 모터 개발이 완료되는 2010년 부터는 관련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6년간 34억여원을 지원받아 향후 의무적으로 사용될 예정인 '고효율 모터'를 개발하고 있다.

결론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을 분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시장의 확대가능성'일 것이다. 아무리 압도적인 M/S를 차지한다 해도 시장 자체의 크기가 작고, 향후 확대가 어렵다면 더이상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얼핏 동사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위와 같은 위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꾸준히 매출의 성장을 이뤄낸 부분은 인상적이며, 대부분 새로운 거래선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이뤄진 경우이다.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고 해외까지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가격을 인상했다는 부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제품의 성격 상 '을'의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실상 국내에서 동사 외에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납품처가 원하는 기어드 모터를 신속하게 설계해서 양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경쟁자가 국내에는 사실상 없으며, 해외 업체들은 신속한 대응 측면에서 동사에게 자리를 내줄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가격경쟁력도 갖췄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가격을 좌지우지 할 수도 없다.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특유의 해자를 활용하여 턴어라운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