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전체

스톡워치 전체 News 글입니다.

배당과 가치

03.05/21
anykim

배당과 유보율은 기업에 상당히 중요합니다.

배당을 할 것인가 유보를 할것인가를 잘 판단할 줄 아는 ceo는 장기성장기업의 절대적 요소입니다.

기업을 평가할 때나 개인의 신용을 평가할때 그 방식이 거의 대동소이하다는 거 아십니까?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신청하며 개인의 정보에 가중치가 들어 있는데 기업의 그것과 똑같습니다.

부채는 많은지, 연간 얼마의 현금을 벌어들이는지, 기타 재산은 많은지, 안정적인 직장을 가지고 있는지...

기업도 마찬가지죠...

당기순이익이 얼마인지, 부채는 과다하지 않은지, 자산은 많은지, 영위하는 비즈니스는 안정적인지..

어떻습니까? 거의 비슷하죠..

그런데 기업과 개인은 결정적인 차이가 있읍니다.

개인은 생산의 주체가 아니라 소비의 주체이기 때문에 절약과 저축이 재산형성의 수단이며, 미덕이 될 수 있는데, 기업은 생산의 주체이며 동시에 가치창출의 주체이기 때문에 기업의 저축(유보)이 미덕이 될 수는 없습니다.

단적인 예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영구히 20억원의 이익을 매년 똑같이 내는 두 기업이 있다고 합시다.

각 기업의 자본은 100억이고 부채는 없다고 했을 때  일정한 배당을 하는 기업과 이익 전부를 유보하는 회사의 기업가치의 변동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액 유보 기업

연도       자기자본      유보율       roe        배당액

1              100            0%           20%         0

2              120            20%          16.7%       0

3              140            40%          14.3%       0

4               160            60%          12.5%      0

5                180           80%          11.1%       0

6               200            100%         10%         0

7                220            120%         9.1%         0

8                 240           140%         8.3%         0

9                 260            160%         7.7%        0

10                280            180%         7.1%       0

11                300             200%         6.7%      0

최초 roe는 20%로 아주 높은 실적을 거양합니다. 그러나 자기자본이 비대해지면서 투자자본대비 수익률이 현저히 저하되어 기업이 계속존재하게 되면 roe가 0에 수렴해버리는게 되는 비극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기업은 기업의 가치를 파괴합니다. 그런 기업은 주주에게 아무것도 해준게 없습니다.

유보가 정당한 의미를 가질 때는 roe의 증가할 때뿐입니다.

이런 기업의 대표적인 기업이 연합철강이죠...

5,000% 넘는 유보율에 비해 배당이 액면가의 20%밖에 하지 않습니다. 물론 기업내부적 사정때문에 그렇게지만, 연합철강의 주가는 대폭할인된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주당 순자산가치가 294,000입니다. 주가는 지금 엄청난 상승에도 불구하고 98,000원 pbr 0.33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최근의 주가 상승은 향후 이러한 가치파괴가 1,2대 주주간의 법정다툼이 해결될것으로 기대되어져 반영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연합철강이 걸어온 길은 험난 그 자체로 작년 최하 pbr이 0.17이더군요...

pbr이 1 이하면 저평가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달리 보면 기업이 유보한 매 1,000원당 시장가치는 170원의 평가를 받는 것이니까 자본이 잘못 사용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일정한 정도의 배당을 하는 기업을 보면..

연도        자기자본           유보율      roe           배당액

1             100                     0%        20%           10

2              110                    10%      18.2%          0

3              130                    30          15.4%         0

4               150                    50%      13.3%         20

5               150                    50%       13.3%        0

6                170                    70%       11.8%       30

7                160                    60%        12.5 %      10

8                 170                   70%         11.8%        0

9                 190                     90%        10.5%      40

10                170                     70%        11.8%      0

11                 190                     90%         10.5%     0

12                  210                    110%        9.5%      30

13                  200                      100%       10%       0

위에서 보듯이 일정한 배당을 하게 되면 자기자본이 일정수준에 맞춰져 자본수익률이 일정수준이하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기업이 아무리 배당을 많이 하더라도 이익을 일정하게 내는 이상 기업가치는 적정가치에 근접하게 평가를 받을수 있읍니다. .

이런 기업에 투자를 하게 되면 배당 + 주가상승을 얻을 수 있어 안정적인 투자안이 될 수 있고

또한 이런 기업은 새로운 투자를 할 때 유상증자도 용이해 효율적인 경영도 가능해지죠..

이상과 같이 배당과 기업가치의 단편적인 면을 살펴보았습니다.

유보와 배당은 상당히 중요하고, 훨씬 복잡한 문젭니다. 무엇이 옳다라고 할 수는 없지만, 여러가지면을 살펴보면서 정당한 기업가치를 얻을수 있는 기업이 최고겠죠....

  • 예측투자 - 부크온
  • 스톡워치 계속 무료료 이용하는 법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