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산업은 크게 발전소,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발전 기자재와 공작기계, 그리고 토목, 건설 작업에 필요한 건설기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전설비 산업은 경제활동의 원동력인 중간 생산재(에너지)를 생사하는 기간산업이자 설비산업으로 투자규모가 크고 자본의 회수기간이 길어 전반적인 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 자본 투자정책,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결정됩니다. 산업 특성상 공공부문과 민자부문으로 나뉘며, 대부분 국가에서 전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계획, 통제하기위해 중장기적으로 전원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산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으로 굴착기계, 크레인, 하역기계 등이 있습니다. 건설 기계 산업은 건설 경기에 따라 수요 변동이 밀접하게 영향을 받으며, 완전 경쟁 체제로서 다수의 글로벌 업체와 특정 지역 내 기반을 둔 로컬 업체들의 시장 참여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발전, 전력 기계 회사로는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효성, LS산전 등이 있으며 건설기계 회사로는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현대건설기계 등이 있습니다.
항목 |
기업 A |
기업 B |
기업 C |
기업 D |
기업 E |
---|---|---|---|---|---|
재무연월 기준 | 2019.09 | 2019.09 | 2019.09 | 2019.09 | 2019.09 |
재무제표 기준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매출액(억) | 186,344 | 80,226 | 76,766 | 29,484 | 8,233 |
매출총이익(억) | 32,726 | 18,885 | 3,748 | 5,453 | 1,980 |
영업이익(억) | 11,246 | 8,438 | 866 | 1,854 | 337 |
세전순이익(억) | -661 | 6,044 | 212 | 1,361 | 273 |
당기순이익(억) | -1,522 | 2,161 | 159 | 594 | 213 |
PER(배) | (-) | 5.04 | 85.67 | 9.39 | 6.11 |
PBR(배) | 1.05 | 0.48 | 0.44 | 0.44 | 0.54 |
ROE(%) | -14.15 | 9.53 | 0.51 | 4.72 | 8.92 |
전일종가(원) | 68,400 | 5,230 | 50,000 | 28,300 | 5,490 |
시가총액(억) | 11,302 | 10,887 | 13,598 | 5,575 | 1,303 |
* 당기순이익 : 연결은 지배지분 순이익, 개별은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 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재무상태표 : 최근 분기 기준* 주가 : 12월 10일 기준
* 주가 :12/11 15:30기준
69,400원
▲1,000원 +1.46%
[퀵리포트] 두산, "매수" 유지..목표가 36%↓ 8만6000원-IBK證
19.12/06
69,400원
▲1,000원 +1.46%
[연속 순매도] 기관, 두산 9일째 팔아
19.12/06
69,400원
▲1,000원 +1.46%
[종목족보] 저금리에 증시도 불안…고배당주 대안될까?
19.12/04
2,795원
▼180원 -6.05%
▶ 12월 8000만원 수익 챙길 바이오 3000% 제2의 신라젠?
19.12/02
10,250원
▲610원 +6.33%
[퀵리포트] 에스엠코어, "매수"..목표가 1만2000원 신규제시-케이...
19.11/29
10,250원
▲610원 +6.33%
에스엠코어, 수익성 개선 이어 신 성장 기대 -대신證
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