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서비스 시장은 한국 사회의 특수한 교육열에 따른 높은 교육비 지출로 그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통게청이 발표한 2016년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당 소비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1.1%로 나타났습니다. 교육 서비스 산업은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국내외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우려되고 있어 성장성은 다소 낮게 평가되고 있지만, 국내 교육 시장의 특수성 및 개인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소비자 니즈 확대, 성인 및 시니어로의 교육 수요는 확대되고 있습니다. 교육 서비스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영 · 유아, 초 ·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정부의 교육 정책 변화에 민감한 경향을 나타냅니다. 교육 서비스 산업은 학습지, 학원, 온라인(이러닝), 출판 시장 등으로 크게 분류됩니다.
항목 |
기업 A |
기업 B |
기업 C |
기업 D |
기업 E |
---|---|---|---|---|---|
재무연월 기준 | 2020.09 | 2020.09 | 2020.09 | 2020.09 | 2020.09 |
재무제표 기준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연결 |
매출액(억) | 8,793 | 6,524 | 6,595 | 4,481 | 4,304 |
매출총이익(억) | 3,859 | 3,771 | 1,022 | 2,499 | -719 |
영업이익(억) | 281 | 187 | -127 | 323 | -1,255 |
세전순이익(억) | -2,125 | -2,134 | -217 | 306 | -1,443 |
당기순이익(억) | -1,294 | -1,732 | -172 | 243 | -385 |
PER(배) | (-) | (-) | (-) | 21.76 | (-) |
PBR(배) | 1.96 | 0.84 | 0.59 | 1.97 | 0.56 |
ROE(%) | -304.74 | -45.78 | -3.12 | 9.07 | -28.86 |
전일종가(원) | 1,050 | 2,735 | 3,805 | 44,550 | 3,255 |
시가총액(억) | 833 | 3,159 | 3,223 | 5,277 | 750 |
* 당기순이익 : 연결은 지배지분 순이익, 개별은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 : 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재무상태표 : 최근 분기 기준* 주가 : 01월 22일 기준